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중 물류 교역의 파수꾼...조선족

ARTICLES

by 김편 2013. 2. 17. 08:00

본문

China Logistics Economy 

글. 이슬기로지스씨앤씨 대표


CLO's TIP, 중국의 조선족 2세대는 한국 물류기업의 중국지사 현지직원으로 채용돼 중국물류사업 진출에 때 통역, 또는 실무직원으로 역할을 했다면 3세대는 중국지점의 총괄 책임자로서 때로는 한국 물류기업의 중국측 파트너사 대표로서 한중간의 다양한 물류사업분야에 주요한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 


중국에는 한족을 제외한 55개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다. 중국 전체 인구에서 소수민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불과 7% 정도 밖에 되지 않지만 중국 국토 면적의 약 64%를 차지하고 있고 중국의 육지 국경 약 2만2천km중 90%인 1만9천km가 소수민족 거주지역에 접해 있다. 더욱이 산림자원과 주요 전략적 광물자원의 대부분 또는 상당부분이 소수민족의 거주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중국에서 소수민족은 소수민족 이상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조선족은 200여년의 비교적 짧은 이주역사를 가진 소수민족으로 소위 혈맹 관계라고 하는 북한과 경제적 동반자인 한국에 중첩되어 있는 관계로 중국으로서는 매우 복잡다단한 정치·경제적 ,민족적 이슈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족은 전통적으로 동북 3성에 주로 거주하였는데 중국의 개혁개방 후 경제성장과 더불어 약 50% 정도가 코리안 드림을 쫓아 한국으로 또는 새로운 일자리와 사업의 기회를 찾아 북경, 상해, 광주 등의 대도시와 청도, 위해, 연태 등 한국기업 주요 진출지역으로 본격 이동 하였다.


조선족은 크게 3세대로 분류 할 수 있다. 구한말 이후 중국으로 이주 해 정착 한 1세대, 한중수교 이후 대거 한국으로 와 각종 산업현장이나 다양한 업종에 취업하거나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취업하여 한국기업의 초기 중국진출에 많은 기여를 한 2세대, 그리고 최근 전문성과 국제경쟁력을 보유하고 국내에 진출한 전문직 종사자나 유학생 그리고 중국내 글로벌 한국기업에 취업하여 한국기업의 중국 진출 제2 도약기를 같이 하고 있는 3세대로 구분 할 수 있다. 2세대 조선족이 온갖 어려움 속에 식당이나 건설현장 등 대표적인 3D 업종에서 일하면서 한푼 두푼 모아 고향에 가게를 열고 자식들 뒷바라지를 했다면 3세대는 대학교수, 변호사 또는 대기업 직원 등으로 전문분야에 진출 해 조선족에 인식에 많은 변화를 주도 하고 있다.


물류업계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2세대가 한국 물류기업의 중국지사 현지채용직원으로 한국기업의 초기 중국물류사업 진출에 때는 통역으로서 때로는 실무직원으로 역할을 하였다면 3세대는 중국지점의 총괄 책임자로서 때로는 한국물류기업의 중국측 파트너사 대표로서 한중간의 다양한 물류사업분야에 주요한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


중국 곳곳에 있는 한국계 회사의 중국 지점 또는 지사는 물론 현지법인에도 웬만하면 조선족 교포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적게는 한두명 에서 많게는 수백명이 근무하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여기가 한국인지 중국인지 구분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이들 조선족 교포 직원들 사이에서도 묘한 지방색이 존재 한다는 것이다. 재미교포 사회에서도 향우회다 대학별 모임에다 군대모임까지 각가지 모임으로 연말연시를 바쁘게 보내는 이들이 많은데 조선족 사회도 출신지역에 따라 비슷하지만 다른 색깔을 띠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흑룡강성과 길림성이 아닐까 싶다. 대표적인 조선족 거주지역이 흑룡강성과 길림성 그리고 요녕성 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흑룡강성과 길림성은 같은 조선족사회지만 이 두 지역 출신 사람들이 서로 그다지 친한 편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한번은 "K" 포워딩 회사의 대련 지점 연말인사에서 그해 발군의 실력을 발휘하여 지점의 실적을 배가시킨 김 대리를 과장으로 승진을 시켰더니 다음날 나머지 조선족 교포 직원 5명 전원이 사표를 던지는 일이 있었다. 영문을 몰라 한국인 지점장이 제일 나이 많은 박 대리를 불러 자초지종을 물어 보니 박 대리 왈,  김 대리는 흑룡강성 출신이고 박 대리 자신을 포함한 나머지 직원들은 모두 길림성 출신인데 나이도 제일 많고 입사한지도 제일 오랜 박 대리를 두고 김 대리를 승진 시킨 것은 자신들이 모두 흑룡강성 아이(그의 표현에 의하면)의 부하가 되는 일이라 참을 수 없는 일이며 회사 역시 길림성 직원들에 대해 차별을 하는 것 같아 항의의 표시로 일괄 사표를 제출 했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야 총리나 고관 인사에 지역안배를 하는 것이 의례적인 탕평책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바다 건너 중국땅에서 지역안배 인사를 고민하게 될 줄이야. 생각도 못했던 상황을 접한 한국인 지점장은 고민 끝에 박대리도 과장으로 승진을 시키는 조건으로 사태를 수습하고 이듬해 흑룡강성 출신 김대리를 신규 오픈하는 항주 지점으로 보냈다고 한다. 이런 일이 흔히 있는 일은 아니겠지만 중국에 진출한 우리기업 대부분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유사한 문제를 겪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일이 한국기업만이 겪는 문제는 아닌 듯 싶다. 카스트 제도가 아직도 사회 깊숙이 뿌리 잡고 있 인도의 경우 중간관리자 이상의 직급을 뽑을 때는 브라만이나 크샤트리아 계급 위주로  채용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하는데, 얼마전 인도에 주재근무중인 한국물류기업 직원으로부터 직접 들은 이야기 이고 보면 그나마 중국의 조선족 교포 문제는 애교로 넘길만 하다. 하긴 인도인들은 이름만 들어도 어느 계급의 사람인지 구분이 간다고 하지 않는가 ? 중국인들의 호구증에 쓰여 있는 민족 구분도 소수민족에게는 나름 스트레스 이긴 하지만 말이다.


여하튼 조선족 젊은이들이 우리 물류기업의 중국진출에 이바지 한 바가 크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일 것이다. 이제는 한 발 나아가 조선족 물류기업들이 우리 물류기업의 중국 파트너로서 더욱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시대적 흐름이 같은 민족으로서의 자부심과 긍지를 갖게 한다. 다만, 일부 한국인이나 조선족 사이에 이해의 부족이나 사업상의 이견으로 유쾌하지 않은 일들이 벌어지곤 한데 좀 더 넓은 아량으로 서로를 포용하고 협력하는 것이 민족의 미래를 위한 바람직한 태도가 아닐까 생각한다.


필자가 중국물류 관련 강의를 다닐 때 마다 하는 이야기가 있다. 비록 오원춘과 같이 극악무도한 일을 벌이는 이가 있는가 하면 한국과 중국이 축구를 하면 중국을 응원하는 조선족도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들은 우리와 같은 민족이라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소수민족으로 여러 가지 불이익을 겪어야 하고 한국에서는 돈 벌러 온 외국인으로 설움을 겪는 이들이 조선족이다. 어디에서도 정당한 대접을 못받고 살아가는 현실이 그들로 하여금 자아에 대한 정체성을 끊임없이 되묻게 하는 그들의 운명이라면 같은 민족으로서 보다 더 열린 마음으로 이들을 이해하고 격려 해 주는 것이 마땅한 일이 아닐까 싶다. 


그러하지 못하여 만약 200만명의 조선족이 우리의 적이 된다면 어떨까? 누구보다도 우리를 가장 잘 아는 그들이 우리의 적이 된다는 것은 무서운 일이다. 이왕이면 200만명의 조선족이 우리의 친구로, 다정한 동반자로 남는다면 우리에게는 더욱더 큰 힘이 되지 않을까?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