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민의 Beyond Logistic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철민의 Beyond Logistics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SCL Review (3558)
    • ARTICLES (2385)
    • INSIGHT (770)
    • INNOVATION (400)

검색 레이어

김철민의 Beyond Logistic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INNOVATION

  • 자율차는 대중교통과 화물운송 지형을 어떻게 바꾸는가

    2018.11.16 by 김편

  • [물류 플랫폼 구하기②] 진짜 ‘SaaS’를 검증하는 6가지 매트릭스

    2018.11.08 by 김편

  • [블록체인보다 사물인터넷] 공급망 물류의 가시성은 어떻게 연결 되는가

    2018.11.08 by 김편

  • [이종훈의 스타트업 이야기⑦] 혁신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할 것들

    2018.11.01 by 김편

  • 나마스떼! 한국은 처음이지? 인도 스타트업의 ‘한국 물류 도전기’ (2)

    2018.10.26 by 김편

  • 대기업의 개방형 혁신 창구, CVC가 뭐길래

    2018.10.23 by 김편

  • [ 플랫폼 구하기①] 물류산업의 디지털화, 필요한 건 ‘형질변화’

    2018.10.15 by 김편

  • 자율주행 로봇의 눈과 귀, ‘센서’ 파헤치기

    2018.10.12 by 김편

  • SCM 조직은 어떻게 만들 것인가

    2018.09.13 by 김편

  • 新북방물류 전략은 ‘디지털 퍼스트’

    2018.09.11 by 김편

  • 드론 배송의 경제학, ‘돈 되는’ 놈이 나타났다

    2018.09.02 by 김편

  • [이종훈의 혁신이야기] 뼈 때리는 혁신전략 3가지, 파괴적 혁신, 블루오션, 그리고 틈새시장

    2018.09.01 by 김편

  • [천동암의 물류에세이] 물류 시스템, 현실에선 어떻게 작동하나

    2018.08.29 by 김편

  • [이종훈의 혁신이야기] '창조적 파괴', 역설을 만드는 방법

    2018.08.11 by 김편

  • [천동암의 물류에세이] 돌아가는 길에 '최적화'가 보인다

    2018.08.08 by 김편

  • MODEX2018에서 만난 물류로봇의 미래

    2018.08.04 by 김편

자율차는 대중교통과 화물운송 지형을 어떻게 바꾸는가

[김편의 C애로우(Arrow)] 차량공유에서 '승차공유(Ride Sharing)' 시대로의 전환 자율차 서비스 영역은 사람보다 화물에 더 빠르게 확장될 것 글. CLO 김철민 기자 첫째, 구글 자율차 ‘웨이모’의 유료택시 상용화 의미 둘째, 자율차가 도로 위 지형을 어떻게 바꾸는가 셋째, 택시, 트럭 등 일자리는 정말 사라지는가넷째, '현대차가 카카오를 만난다면' 국내 자율차 시장의 현주소와 과제 첫째, 구글 자율차 ‘웨이모’의 상용화 의미 16,093,440km. 서울과 뉴욕간의 거리가 약 11,060km이니 14시간쯤 걸리는 서울-뉴욕을 1,455번 오간 거리입니다. 이 기간 운행 중 발생한 사고는 단 1건. 이 사고 또한 뒤따르던 차량 운전자의 전방 주시 태만에 따른 경미한 추돌. 이 정도의 사고율..

INNOVATION 2018. 11. 16. 13:24

[물류 플랫폼 구하기②] 진짜 ‘SaaS’를 검증하는 6가지 매트릭스

솔루션 웹서비스, SaaS(Software as a Service)란 무엇인가?자사 소프트웨어를 SaaS로 변환하기 위한 핵심 검증 매트릭스 글. 박용규 아가도스 대표 Idea in Brief 무엇이 SaaS이고, 무엇이 클라우드인가. 물류 플랫폼을 운영하는 회사를 포함한 수많은 국내 소프트웨어 솔루션(ICT) 기업들이 그 경쟁력으로 ‘클라우드’, 즉 SaaS를 내걸고 있다. 근데 이게 정말 클라우드가 맞는 것일까. 우리는 여전히 구름 위의 개발 노동 시장을 걷고 있는 것은 아닐까. 진짜 SaaS를 찾기 위한 6가지 검증 매트릭스(Metrics)를 제시한다. 이것을 통해 실제 국내 한 물류 플랫폼을 검증해봤다. 마지막으로 확장에 애를 먹고 있는 물류 플랫폼이 그 이상을 바라보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그 방향..

INNOVATION 2018. 11. 8. 11:18

[블록체인보다 사물인터넷] 공급망 물류의 가시성은 어떻게 연결 되는가

블록체인보다 사물인터넷 IoT는 센서를 활용한 '네트워크', 미개척지 지배할 자 누구인가 글. 정태수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부교수 Idea in Brief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에 있어 항상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사물인터넷(IoT)은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하는데 앞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기술이다. 본고에서는 물류와 공급망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화두 중 하나인 가시성 확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인 사물인터넷에 대해 알아본다.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기술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며, 이를 바탕으로 물류와 공급망 관리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도록 하자. 지난 기고를 통해 사물인터넷의 전신이라 볼 수 있는 기술인 RFID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

INNOVATION 2018. 11. 8. 10:18

[이종훈의 스타트업 이야기⑦] 혁신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할 것들

하지 않아도 돼~ 혁신을 위해' 절대 집착하면 안 되는 활동 4 가지'기업 혁신을 정체시키는 '신제품 개발에 대한 6 가지 오해' 글. 이종훈 롯데엑셀러레이터 투자본부장 Idea in Brief 누구나 원하는 '혁신'. 단순히 웹 검색창에 혁신을 입력하더라도 각종 혁신 방법, 혁신 가이드, 혁신 필수요소 등이 쏟아진다. 하지만 혁신과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해야 할 일'만큼 '하지마 말아야 할 일' 또한 명확히 존재한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vard Business Review) 기고문을 바탕으로 혁신을 위해 절대 집착해서는 안 되는 활동 4 가지를 확인해보자. 더불어 신제품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을 확인하고 그 해결법을 알아보자. 기업이 혁신하는 방법에 대한 세상의 이야기들이 봇물 넘치는 시..

INNOVATION 2018. 11. 1. 15:19

나마스떼! 한국은 처음이지? 인도 스타트업의 ‘한국 물류 도전기’ (2)

이커머스에 꼭 필요한 카탈로그 자동화 시스템 'Text Mercato'정보추출·인식·분류에 이미지 편집까지, AI가 만드는 전면 자동화 글. CLO 신승윤 기자 두 번째로 만난 인도 스타트업 ‘Text Mercato’는 Kiran Ramakrishna 대표와 Vanita Patni 운영매니저 두 사람과 함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들 또한 한국에서의 생활에 대체로 만족하는 한편, 역시나 음식이 어려운 부분이라 한다. 인터뷰 전날 입국했다는 Vanita Patni 매니저는 채식주의자라, 주변에 식사가 가능한 곳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Text Mercato의 Kiran Ramakrishna 대표(좌)와 Vanita Patni 운영매니저(우) 한국에 온 소감을 묻자 Vanita Patni 매니저는..

INNOVATION 2018. 10. 26. 14:05

대기업의 개방형 혁신 창구, CVC가 뭐길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 'CVC'의 정의, 역사, 그리고 사례 글. 이종훈 롯데엑셀러레이터 투자본부장 Idea in Brief ICT 기술 발전으로 모바일 혁명이 도래했다. 사회 연결망(Social Networks)의 확대와 함께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지능화 혁명이 빠르게 진행 중이다. 최근의 사회경제적 변화는 움직임의 방향 또한 예측하기 어렵다. 때문에 대기업을 비롯해 과거 큰 성장을 이룩했던 기성 기업들(Established Firms)은 기존 사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업은 격변하는 이 시대를 어떻게 돌파해나가야 할까. 불확실성의 대응 수단, 혁신기업은 외부 자원을 활용해 대규모 투자 위험을 줄여 신규사업의 불확실성에 대처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

INNOVATION 2018. 10. 23. 11:59

[ 플랫폼 구하기①] 물류산업의 디지털화, 필요한 건 ‘형질변화’

물류산업 DT(Digital Transformation)의 핵심, '형질변화''초자동화'가 불러올 '초스피드' 시대, 진정한 의미의 물류 플랫폼이란? 글. 박용규 아가도스 대표 Idea in Brief 대기업과 스타트업을 막론하고 공급망의 투명성을 만든다고 폭발적으로 등장한 물류 플랫폼은 왜 성장가도를 보이지 못하고 있을까. 물류가 잘못한 것일까. 혹은 IT가 잘못한 것일까. 물류 플랫폼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 그리고 결국 ‘플랫폼화’될 물류산업을 위해 준비해야 될 것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구시대 레거시(Legacy) 소프트웨어 구조의 문제점을 짚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물류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진정 필요한 방법론은 무엇인지 전한다. # 수출업자의 주문예약(Order Bookin..

INNOVATION 2018. 10. 15. 10:13

자율주행 로봇의 눈과 귀, ‘센서’ 파헤치기

로봇의 오감(五感)을 분석해 움직임을 만드는 복합응용기술, '센서'샅샅이 파헤쳐 보는 자율주행로봇의 핵심 센서 네 가지천차만별의 센서 종류, 가격과 성능을 고려한 최적의 센서 조합은? (사진출처 : 자율주행로봇 스타트업 '뉴로(Nuro)') 글. 박정훈 CJ미래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 Idea in Brief AMR(Autonomous Mobile Robot)은 더 이상 실내에서, 또는 로봇만의 독립적 영역에서 활동하지 않는다. 인간과 상호작용하며 업무를 처리하고, 거리의 군중 속을 헤치고 물건을 배달한다. 때문에 로봇은 주변 환경을 정확히 인식한 뒤, 그에 따라 적절한 판단과 움직임이 가능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최우선 돼야하는 것이 바로 환경 인식, 센서의 기능이다. 로봇의 눈과 귀가 돼 정보를 전달하는..

INNOVATION 2018. 10. 12. 11:57

SCM 조직은 어떻게 만들 것인가

SCM 조직 구성에 대한 고민, 어떻게 해결할까네 가지 사례로 살펴보는 바람직한 SCM 조직 만들기 벼랑끝 공급망, 전장(戰場)의 SCM⑤ 글. 박승범 SCM칼럼니스트 Idea in Brief SCM부서는 무슨 일을 할까. 공급부터 판매까지 이어지는 가치사슬을 다룬다고 하니 무언가 거창하다. 단순히 물류만 할 것 같지 않다. 오히려 기업 전략기획 담당자가 다뤄야 할 업무에 가까운 이야기가 나오진 않을까. 슬프게도, 물류만 하거나 그것과 연결된 일부만 다루는 SCM부서는 꽤나 많다. 그리고 그런 조직은 공급망 운영을 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공급망 혁신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SCM을 잘 하기 위해서는, 특히나 이를 몸으로 체감하는 실무자 입장에서 더 나은 공급망을 만들기 위해선, 사실 조직 구성이 가..

INNOVATION 2018. 9. 13. 13:22

新북방물류 전략은 ‘디지털 퍼스트’

국내 물류회사들이 넘기 힘든 북방물류 '인프라의 장벽'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 집중해 '디지털 퍼스트' 이뤄내야글. 송상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 Idea in Brief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방물류’에 대한 관심 또한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하지만 북방물류가 요즘 들리는 이야기냐면 그것은 아니다. 지난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현 정부의 ‘新북방정책’에 이르기까지 북방물류에 대한 높은 관심은 예전부터 존재했다. 그럼에도 북방물류가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는 ‘열악한 인프라’에서 찾을 수 있다. 흔히 ‘인프라’하면 하드웨어 인프라를 떠올릴 수 있겠다. 하지만 우리가 러시아, 중국이라는 강국 사이에서 찾을 수 있는 북방물류의 진정한 기회는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에 존재한다. 남북 ..

INNOVATION 2018. 9. 11. 06:00

드론 배송의 경제학, ‘돈 되는’ 놈이 나타났다

라스트마일 배송의 혁명으로 등장한 드론, 실 사례는 제한적운영비, 연료소모, 고객연결 등… 효과적인 드론 배송은 어디에? 글. 송상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 Idea in Brief 아마존, 징동, 우정사업본부... 드론을 통한 배송 서비스에 대한 뉴스가 연일 화제다. 하지만 기존 배송서비스를 대체하는 상용화된 드론 배송서비스의 등장은 늦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드론 배송의 운영비용과 최적의 연료소모량을 분석해 드론 배송을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와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과연 우리 생활 속에서 드론 배송을 볼 수 있는 날이 올까. 다양한 사례와 연구 결과를 통해 실제 현실에 접목 가능한 드론 배송서비스 혁신에 대해 고민해본다. 빈 드론이 요란하다? 2013년 12월 1일,..

INNOVATION 2018. 9. 2. 09:23

[이종훈의 혁신이야기] 뼈 때리는 혁신전략 3가지, 파괴적 혁신, 블루오션, 그리고 틈새시장

이종훈의 혁신 이야기④파괴적 혁신, 블루오션, 그리고 틈새시장Point1. 토요타 사례로 보는 미국 자동차 시장의 파괴적 혁신, '어마어마한 성능'이 중한 것이 아니다.Point2. 옐로우테일 와인 사례로 보는 블루오션의 의미, 기존 시장에게 경쟁자로 보이면 안 된다Point3. 제로투원(Zero to One). 누군가 버리거나 간과한 곳에 틈새가 보인다.글. 이종훈 롯데엑셀러레이터 투자본부장 Idea in Brief 혁신을 외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혁신을 만드는 전략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특히 인적, 물적 인프라가 취약한 작은 기업은 큰 기업과는 다른 방식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여기 세 가지 전략이 있다. 파괴적 혁신, 블루오션 전략, 틈새시장 전략이다. 귀에 못박히도록 들은 뻔한 이름일..

INNOVATION 2018. 9. 1. 01:00

[천동암의 물류에세이] 물류 시스템, 현실에선 어떻게 작동하나

오부장 미국에 가다(마지막 편)실단 물류의 숙제를 해결하는 '시스템'가시성 확보부터 물류비 정산까지, 시스템은 어떻게 활약하나삼성SDS 리스크 모니터링 시스템 구동화면(본문과는 상관 없습니다.) “김동석 대표님, 지금 저희 회사 북미 판매법인의 대형 물동운영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물동 가시성 때문에 큰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오 부장님, 물동 가시성은 물동관제 시스템과 관련이 깊은데 맞습니까?” “네. 맞아요. 금방 정답이 나오네요. 북미 판매법인 18개 대형 건설 현장에 동시 다발적으로 제품을 공급해야 합니다. 김 대표님이 얘기한 바와 같이 창고운영과 운송의 물동운영 상황을 관제하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건설현장의 자재 납품은 분할로 이루어지고, 건설현장마다 최초 시작하는 시점과 완료되는..

INNOVATION 2018. 8. 29. 14:29

[이종훈의 혁신이야기] '창조적 파괴', 역설을 만드는 방법

이종훈의 혁신 이야기③창조적 파괴는 언번들링과 리번들링의 순환혁신의 목적지는 ‘독점’, 파괴자가 파괴의 대상으로 바뀌는 역설 글. 이종훈 롯데엑셀러레이터 투자본부장 Idea in Brief 혁신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용어 중 하나가 ‘창조적 파괴’다. 새로움과 사라짐이라는 상반되는 의미가 결합돼 만들어진 이 용어는 ‘언번들링’과 ‘리번들링’의 순환을 의미한다. 새로운 누군가가 기존 지배경제 체제가 다루는 특정 한 분야를 개선시키고, 그것을 기반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지배경제 체제가 되는 것. 누군가를 파괴한 자가 새로운 파괴자들을 맞이하는 그 선순환 속에서 건강한 자본주의 경제 환경이 만들어진다. 현대사회에서 혁신을 이야기 할 때 자주 함께 이야기 돼 빼놓고 지나가면 참 서운할 용어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INNOVATION 2018. 8. 11. 00:00

[천동암의 물류에세이] 돌아가는 길에 '최적화'가 보인다

오 부장 미국에 가다⑩건설물류 프로젝트, 빠른 길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추가 물류비와 리드타임을 감안해도, 총 비용이 절감되는 이유 '세금'우회로 선택이 때로는 전체 최적화의 길이 된다 글. 천동암 교수 서 전무는 현재 물동운영에 대한 북미 법인의 문제점을 송 사장에게 정확하게 전달했다. 미국 TF팀 관련 인사 절차는 일단 모든 것이 보류되었다. ‘현장에서 처리해야 할 문제’가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논리가 본사 비서실을 납득시킨 것이다. 문제를 더욱 크게 만들어 문제를 덮는 작전이 통했다. 오 부장은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직장 생활에서 먹고사는 문제 이외에 무엇이 중요한지 고민하게 되었다. 회사는 변덕스러운 바람과 같은 존재다. 일을 더디게 하면 상사로부터 불호령이 떨어지고, 구조조정 ..

INNOVATION 2018. 8. 8. 00:00

MODEX2018에서 만난 물류로봇의 미래

운반은 기본! 피킹까지 자유자재, 한층 진화한 로봇팔의 등장물류현장을 가상현실로 체험? VR/AR을 이용한 교육 시뮬레이터물류로봇은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지금 당장 도입 가능한 로봇 글. 박정훈 CJ미래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 Idea in Brief 비록 우리나라에서는 실 도입사례를 찾기 힘들지만, 세계적으로 GTP(Goods To Person) 스타일의 물류로봇은 새로움을 지나 일반적인 물류자동화 수단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상용로봇과 솔루션 공급기업들이 등장하며 물류로봇 공급이 안정화 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후의 단계는 무엇일까. 세계 최대 물류 엑스포 중 하나인 MODEX 2018에서 선보여진 물류로봇을 중심으로 미래 물류로봇의 모습을 점쳐보자. 아마존의 키바(KIVA)가 장기간..

INNOVATION 2018. 8. 4. 06: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25
다음
TISTORY
김철민의 Beyond Logistics © BeyondX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