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한통운 M&A 대해부(2) - 대한통운 핸들 누가 쥘까

ARTICLES

by 김편 2011. 3. 20. 11:09

본문

 대한통운 M&A 대해부 (2)
대한통운 핸들 누가 쥘까
산은, "입찰價 관건…시장논리 무시 못해"
업계, "고용승계 보장, 분리재매각 없어야"   

[CLO=김철민기자] 인수·합병(M&A)업계는 대한통운 인수전이 결국 ‘돈(입찰가)’에 좌우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민유성 산업은행금융지주 회장은 이번 인수전에 대해  “아시아나 항공과 대우건설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것인 만큼 높은 인수가가 가장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반면 물류업계는 대한통운 인수전이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점에 무게감을 실고 있다.

공기업 형태로 시작해 정부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대한통운이 ‘물류업계 맏형’의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인수기업의 사명감과 책임감을 강조하고 있다.

고용승계 100% 보장해야

그렇다면 대한통운 인수전의 변수 중 하나인 '고용승계'는 어떨까? 

우선 3년 전 금호아시아나그룹이 대한통운 인수에 성공했을 때를 짚어보자. 당시 박삼구  회장은 "IMF 때도 나는 직원들을 구조조정한 적이 없다. 절대로 인위적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며 대한통운의 인력을 100% 승계하겠다는 말한 바 있다.

이 같은 금호의 결정은 2008년 STX와 대한통운 인수전 입찰평가에서 동점을 받은 상황에서 결국 승리를 하게 된 결정적 평가요소가 됐다.


박 회장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에도 공식적인 자리에서 대한통운은 우수한 인재들 때문에 인수한 것이며 인위적인 인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는 말을 거듭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박 회장의 M&A 방식도 기존과 달랐던 점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과거 조용히 M&A를 추진해온 다른 그룹과 달리 공개적으로 여러 차례 인수 희망 의사를 표시해왔기 때문이다.

이런 희망 표시는 피인수기업 주가를 높여 인수 부담을 높이기 마련이지만 박 회장은 항상 솔직한 의사를 표현해왔다. 박 회장은 공개석상에서 여러 차례 "대한통운은 금호아시아나그룹과 가장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이라며 "반드시 인수하고 싶다"고 밝혀왔다.

이 때문일까? 이번 대한통운 인수전에 참여한 롯데와 포스코, CJ 등은 입찰의향서를 제출하기 이전부터 공개적인 러브콜이 이어졌다.

분리매각 "없다"
M&A 시장 안팎으로 끊이지 않는 루머 중 하나가 대한통운 분리매각 또는 인수 후 분리재매각이다.

이에 대해 2월 14일 민유성 산업은행 회장과 노무라증권 등 매각주간사들은 "대한통운을 분리매각하지 않겠다"며 업계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민 회장은 모 언론사와 인터뷰에서 그 동안 논란이 됐던 분리매각설에 대해 "대한통운 물류-택배 사업부문의 분리매각을 생각하거나, 고려해 볼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수·합병 시장은 여전히 분리재매각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대한통운 매각이 정상적으로 마무리된다 해도 인수기업에 따라 사업별 분리재매각 시나리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M&A시장 관계자는 "인수기업에 따라 분리재매각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 중일 것"이라며 "매각이 완료된 이후에도 대한통운의 운명은 마지막까지 지켜봐야할 일"이라고 말했다. 

분리재매각도 "안될 일"

반면 물류와 연계된 학계와 연구소, 업계 모두는 향후 대형화된 글로벌 물류업체 육성이 시급한 만큼 대한통운 물류-택배사업 분리매각이 국가적 손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도 수차례 기자들과 만나 대한통운 인수에 큰 관심을 보이며 "우리나라도 DHL같은 글로벌 물류기업이 필요하다. 물류시장이 정말 어마어마한데, 조선, 해운 등은 그런 (글로벌) 기업이 있지만 물류만 없다. 그런 기업이 하나 정도만 있어도 국가적으로 큰 이득"이라고 말해 대형 물류업체의 출현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대한통운 인수전 평가항목 중 '사업별 분리재매각 불가'를 명시하는 등 보호막이 필요할 것이란 게 업계의 설명이다.

정부관련 물류연구원 고위 관계자는 "M&A의 시장논리를 무시할 순 없는 노릇이지만 국가 GDP의 4%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물류산업이 제조유통업에 영향력이 크다"며 "대한통운 인수전이 한 기업의 실익추구 이전에 국가 전체산업의 발전 측면에서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