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럽지역 수출동향 분석 (관세청)

ARTICLES

by 김편 2010. 7. 1. 12:22

본문

 

최근 재정위기에 따른

對 유럽지역 수출동향 분석

올 5月까지 南․西유럽 수출 부진, 東유럽은 호조

- 재정위기 영향이 유럽내에서도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 -

남유럽發 재정위기의 헝가리․영국 등 유럽 전지역 확산이 우려되고 EU 각 국은 잇따라 긴축조치를 발표하면서 우리나라의 對EU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점검할 필요

◇ '09년 기준 EU 수출비중*은 12.8%로 중국에 이어 2대 수출대상국이며, 유럽으로 확대할 경우 비중은 15.4%로 증가

   * 서유럽 비중이 7.6%, 동유럽 3.0%, 남유럽(PIGS) 2.3%

올 5월까지 남․서유럽 지역 수출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 재정위기의 영향이 유럽 지역내에서도 차별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

  - EU지역 수출증가율은 13.2%(전년동기대비)로 주요 교역상대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 EU 수출비중도 5월 10.9%로 축소

  - PIGS지역(포르투갈․이태리․그리스․스페인) 수출이 4.8%, 서유럽 지역이 7.4% 등 한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

  - 반면, 동유럽 지역EFTA지역 및 러시아․터키 등 기타유럽지역 수출은 큰 폭 증가세

무역수지도 올 5월까지 EU 전체로는 56.2억불 흑자 기록한 가운데, 서유럽 지역은 적자 전환(6.1억불 적자)

품목별로는 EU 수출비중이 높은 선박 등의 수출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수입비중이 높은 유럽産 주류․자동차․가죽제품은 유로화 약세로 가격 측면 수혜 전망

1. 우리나라의 대 유럽지역 교역 현황 (2009년 기준)

□ 남유럽發 재정위기의 유럽 전지역 확산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對유럽지역 교역현황을 분석

작년 기준으로 유럽지역 수출비중은 15.4%로 아시아지역에 이어 두번째 빅마켓에 해당

<표> 2009년 주요 지역별 수출입 및 무역수지

(단위 : 백만불)

수출순위

지역

수출액(비중)

수입액(비중)

무역수지

1

아시아

190,761 (52.5%)

154,114 (47.7%)

36,647

2

유럽

56,028 (15.4%)

43,862 (13.6%)

12,166

3

북미

41,089 (11.3%)

32,575 (10.1%)

8,514

4

중남미

26,763  (7.4%)

11,648  (3.6%)

15,115

5

중동

24,039  (6.6%)

61,613 (19.1%)

-37,574

6

아프리카

8,455  (2.3%)

3,185  (1.0%)

5,270

7

기타

16,397  (4.5%)

16,087 (5.0%)

310

 

총계

363,534 (100%)

323,085 (100%)

40,448

유럽지역을 세부 권역별․국가별로 보면,

 ㅇ ‘09년 기준 유럽지역 내 수출비중은 EU지역으로 83%, EFTA지역으로 3.5%, 기타 국가로 13.5% 수출

 ㅇ 작년 선진국發 금융위기 영향으로 서유럽 및 EFTA 지역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동유럽 및 선박수출 호조에 따라 남유럽 지역 수출은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

 ㅇ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대상국은 독일로 작년 88.2억불을 수출하였으며 유럽시장 내 비중은 15.7%

   - 독일 다음으로 네덜란드․러시아․폴란드․영국 순

   <표> 2009년 우리나라의 유럽지역 권역별 수출입 실적

(단위 : 백만불)

구분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수출비중

(대 세계대비)

EU

서유럽

27,620

26,491

1,129

7.6%

(△26.8%)

(△19.7%)

동유럽

10,819

1,233

9,586

3.0%

(△10.5%)

(△18.8%)

남유럽

(PIGS)

8,168

4,507

3,661

2.3%

(△4.6%)

(△17.9%)

소계

46,607

32,231

14,376

12.8%

EFTA

1,956

4,548

-2,591

0.5%

(△22.4%)

(9.9%)

기타

7,464

7,083

381

2.1%

(△52.3%)

(△26.0%)

유럽 총계

56,028

43,862

12,166

15.4%

  주1)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주2) PIGS(포르투갈,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동유럽(10개국: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체코공화국, 슬로바키아, 헝가리, 슬로베니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서유럽(13개국),   기타(20개국: 러시아, 터키, 우크라이나 등 )


<표> 2009년 우리나라의 유럽지역 10대 수출대상국

(단위 : 백만불, %)

순위

국가명

수출액(비중)

주요 수출 품목

비고

1

독일

8,821 (15.7)

선박, 전기제품, 컴퓨터, 승용차

 

2

네덜란드

4,528 (8.1)

석유제품, 휴대전화

 

3

러시아

4,194 (7.5)

승용차, 휴대전화, 자동차부품

non EU

4

폴란드

4,147 (7.4)

액정디바이스, 방송용부분품

 

5

영국

3,797 (6.8)

휴대전화, 선박, 승용차

 

6

그리스

3,204 (5.7)

선박, 휴대전화, 승용차

PIGS

7

슬로바키아

3,137 (5.6)

액정디바이스, 자동차부품

 

8

프랑스

2,911 (5.2)

휴대전화, 선박, 승용차

 

9

이탈리아

2,797 (5.0)

승용차, 선박, 휴대전화, 철강제품

PIGS

10

터키

2,661 (4.8)

승용차, 선박, 철강제품

non EU

 

10대국 소계

40,197 (71.7)

 

 

* (   )안 비중은 우리나라의 유럽지역 총수출 대비 각 국 수출 비중

2. 최근 재정위기의 영향분석

남유럽發 재정위기로 EU지역을 중심으로 긴축 등에 의한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유로화 약세까지 겹쳐 우리의 유럽지역 수출 및 무역수지에 악영향 우려

⇒ 올해 최근 5월까지 유럽지역의 각 권역별 및 주요 국가별 수출동향을 점검

 가. 권역별 영향분석

(유럽 전체) 유럽대륙 전체로는 ‘10년 5월까지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21.4% 증가하여 양호한 편이나,

 ㅇ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EU지역은 13.2%에 그쳐 미국․일본 등 주요 교역 상대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

   * 주요 지역 수출증가율(’10.1~5월실적 누계, 전년동기대비)

     미국 31.1%  일본 31.7%  동남아 49.8%  중국 53.1%  중동 17.4%

(유럽 세부권역별) 재정위기의 진원지인 PIGS지역으로 수출이 4.8% 증가, 정부부채 수준이 높은 서유럽 지역이 7.4% 증가에 머무는 등 EU 재정위기의 영향을 받는 모습

 ㅇ 반면 동유럽 지역과 EFTA지역은 재정위기와 무관하게 큰 폭의 수출 증가세 시현

(무역수지) 동유럽 지역 수출 호조로 EU 전체로는 56.2억불 흑자를 기록중이나, 서유럽 지역은 적자 전환

 ㅇ PIGS 지역 무역흑자 수준은 거의 변화가 없고,

 ㅇ EFTA 지역은 큰 폭의 수출 확대로 적자 폭 감소

<표> 2010년 유럽지역 수출입 실적

(단위 : 백만불)

구분

수출

수입

무역수지

EU

서유럽

11,872  (7.4%)

12,479 (31.3%)

-607 (△2,159)

동유럽

5,273 (37.0%)

534 (13.9%)

4,739   (1,360)

남유럽

(PIGS)

3,455  (4.8%)

1,970  (7.0%)

1,485     (28)

소계

20,600 (13.2%)

14,983 (26.8%)

5,617  (△771)

EFTA

1,390 (147.5%)

2,145 (30.8%)

-756    (322)

기타

4,162  (50.0%)

4,613 (105.3%)

-451  (△979)

유럽 총계

26,152  (21.4%)

21,741 (38.5%)

4,411  (△2,199)

  * ( )안은 전년동기대비 증감율, 무역수지의 경우 증감액


 나. 국가별 영향분석

□ 재정적자 및 국가부채 비율이 매우 높아 긴축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EU 국가에 대한 수출 동향을 파악

□ 재정적자 비율(GDP대비)이 9.0% 이상, 또는 정부부채 비율이 70% 이상인 주요 국가들*에 대한 최근 실적

     * 출처 : Eurostat 홈페이지

 ㅇ 아일랜드․그리스․영국․프랑스에 대한 수출은 주춤하는 모습인 반면, 스페인․포르투갈․이태리 수출은 양호

  - (그리스)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선박 수출 감소(△69.5%) 큰 폭의 수출 감소세

  - (영국) 휴대전화 수출 감소(△64.1%) 영향으로 한 자릿수 증가율에 그침

  - (프랑스) 승용차 수출은 늘었으나(96.6%), 휴대전화(△59.4%)․선박(△69.3%) 감소로 전년대비 감소세

<표> 재정이 불안한 주요 EU국가에 대한 수출입 실적

(단위 : 백만불,%)

구분

재정적자비율(%)

정부부채비율(%)

'09년 1월∼5월

'10년 1월∼5월

수출액

수입액

무역

수지

수출액

수입액

무역

수지

아일랜드

14.3

64.0

236

245

-9 

262 

269 

-7 

(11.0) 

(9.5) 

그리스

13.6

115.1

1,558

23

1,535 

562

33 

529 

(△63.9) 

(44.9)

영국

11.5

68.1

1,641

937

704

1,737 

1,327 

410 

(5.9) 

(41.6) 

스페인

11.2

53.2

602

381

221 

820 

370 

450 

(36.2) 

(△2.9) 

포르투갈

9.4

76.8

209

23

186 

909 

35 

875 

(335.0)

(51.5)

프랑스

7.5

77.6

1,339

1,540

-201

 979

1,650

-671

(△26.9)

(7.2)

이태리

5.3

115.8

929

1,414

-484

1,163

1,531

-368

(25.2)

(8.3)


 다. 품목별 영향분석

재정위기 및 유로화 약세의 영향을 받는 품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예상

 ㅇ (수출 품목) 우리나라의 對EU 수출품목은 대부분 EU시장 의존도가 낮은편이나, 선박․항공기 부품․공구류는 EU수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올해 5월까지 품목별 수출실적을 보면, 선박휴대전화 감소세가 뚜렷한 반면, 자동차․반도체를 중심으로 10대 품목 대부분 증가세

<표> 대 EU 품목별 수출 실적(‘10.1~5누계)

(단위 : 백만불,%)

순위

품목

HS code

수출액

수출증감율

(전년동기대비)

1

선박

8901

4,094

△23.4

2

액정디바이스

9013

1,916

18.8

3

승용차

8703

1,519

52.8

4

휴대전화

8517

1,481

△30.4

5

특수선박

8905

1,210

-

6

자동차부품

8708

1,049

85.4

7

방송용수신기기 부분품

8529

920

78.6

8

반도체 디바이스

8541

532

228.6

9

사무용기기 부분품

8473

466

42.5

10

전자집적회로

8542

396

62.4


 ㅇ (수입 품목) EU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상당히 높은 유럽산 자동차․의료용품․가죽제품․주류유로화 약세로 수입가격 하락의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

<그림> 우리나라의 전세계 대비 EU 수출입 비중이 높은 주요 품목

수출 비중

수입 비중

* HS code 2단위 기준

3. 시사점

최근 유럽 재정위기의 우리 수출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나, 재정이 불안한 서유럽 및 PIGS 지역 수출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편

□ 향후 EU 각 국의 긴축조치 확산에 대비해 유럽지역내 각 권역별 및 국가별 수출동향면밀하게 점검할 필요

□ 특히 중국의 최대 시장인 對유럽 수출이 타격을 받을 경우 우리의 對중국 수출 감소라는 간접 효과에도 대비할 필요












(첨부자료) EU 27개 회원국에 대한 수출입 실적 (단위 : 백만불, %)

구  분

'09년 1월∼5월

'10년 1월∼5월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교역규모

수출비중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교역규모

수출비중

그리스

1,558

23 

1,535

1,581

1.18 

562 

33 

529 

595 

0.31 

(△63.9)

(44.9)

네덜란드

1,788

721

1,067

2,509

1.35 

1,943

1,656 

288

3,599

1.08 

(8.7)

(129.7)

덴마크

359

248

111 

607 

0.27 

310 

230

79

540 

0.17 

(△13.8)

(△7.1)

독일

3,044

4,278

△1,234

7,322

2.30 

4,105

5,532

△1,426

9,637 

2.28 

(34.9)

(29.3)

라트비아

35

5

30

40 

0.03 

32 

27

36 

0.02 

(△9.1)

(3.3)

루마니아

126

52 

74 

179 

0.10 

150

53 

97

203 

0.08 

(18.8)

(0.7)

룩셈부르크

13

20 

△7

33

0.01 

7

20 

△13 

27 

0.00 

(△45.2)

(△0.1)

리투아니아

20 

13 

27 

0.01 

44 

7

37

50 

0.02 

(121.4)

(△3.9)

몰타

408

59 

349 

467 

0.31 

647 

60 

587 

707 

0.36 

(58.8)

(2.1)

벨기에

1,115

336

779 

1,451

0.84 

839

437

402 

1,276

0.47 

(△24.7)

(30.0)

불가리아

26 

15 

11 

41

0.02 

41 

28 

13

70 

0.02 

(60.8)

(88.5)

사이프러스

462

27 

435 

490 

0.35 

190

57 

133 

248 

0.11 

(△58.8)

(109.3)

스웨덴

168

392

△224

560 

0.13 

232

563

△331

795 

0.13 

(37.7)

(43.5)

스페인

602

381

221 

983 

0.45 

820

370

450 

1,190

0.46 

(36.2)

(△2.9)

슬로바키아

1,182

24 

1,157

1,207

0.89 

1,626

34 

1,591

1,660

0.90 

(37.5)

(38.3)

슬로베니아

140

19 

121 

158 

0.11 

217 

26 

191 

243 

0.12 

(55.5)

(40.1)

아일랜드

236

245

△9

481 

0.18 

262

269

△7

530 

0.15 

(10.9)

(9.5)

에스토니아

11 

11 

0.1

22

0.01 

19

25 

△6 

45 

0.01 

(72.9)

(132.8)

영국

1,641

937

704 

2,578

1.24 

1,737

1,327

410 

3,064

0.97 

(5.9)

(41.6)

오스트리아

222

320

△98 

543 

0.17 

416

343 

73 

759 

0.23 

(86.9)

(7.1)

이탈리아

929

1,414

△484

2,343

0.70 

1,163

1,531

△368

2,695

0.65 

(25.2)

(8.3)

체코

295

113

182 

409 

0.22 

418

134

285 

552

0.23 

(41.8)

(17.9)

포르투갈

209

23 

186 

231

0.16 

909

35 

875 

944

0.51 

(336.1)

(51.5)

폴란드

1,536

95 

1,441

1,631

1.16 

1,729

96 

1,633

1,825

0.96 

(12.5)

(1.3)

프랑스

1,339

1,540

△201

2,878

1.01 

979

1,650

△671

2,630

0.54 

(△26.8)

(7.2)

핀란드

259

379

△119

638 

0.20 

204

335

△132

539

0.11 

(△21.5)

(△11.5)

헝가리

477

128

350 

605 

0.36 

997

126

871 

1,124

0.55 

(108.9)

(△1.1)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