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철민 기자
[CLO] 해외 주요외신들은 이번 계약을 놓고 라이벌간인 삼성과 애플의‘적과의 동침’으로 분석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삼성과 업계 전문가들은 삼성이 애플에 대한 부품공급 계약에 대해 자연스런 현상으로 평가했다.
◆삼성의 절묘한 사업포트폴리오 성과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아이폰이 나오기 이전에도 애플은 삼성의 주요고객이었다”며“거래처 중 하나인 애플
과 부품계약을 체결한 건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업계 전문가들도 애플이 계약을 맺은 주체는 삼성전자가 아닌 삼성전자 내 반도체와 LCD사업부문으로 삼성전자와 스마트폰관련 사업부를 동일시하는 일종의 착시현상으로 인해 마치 경쟁사와 거래하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현상은 삼성전자의 사업포트폴리오가 반도체, 휴대폰, LCD, 가전 등 다양하다는 점과 연관이 있다. 겉으로는 삼성이 다소 문어발식 사업모델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삼성전자의 실적에서 나타났듯이 휴대폰과 반도체, LCD 사업 등이 번갈아 가면서 실적
물류와 SCM관련 학계와 업계에서는 삼성과 애플이 부품 공급망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양사가 사업 리스크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예를 들어 삼성이 애플과 계약하지 않고 이 회사의 부품수급을 곤란하게 만들
경우, 삼성이 득을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애플이 삼성이 아닌 다른 반도체나 LCD를 선택할 경우, 오히려 삼성이 타격을 입게 된다. 이런 상황에 애플이 삼성전자를 축으로 하는 반도체, LCD 등 주요부품 공급망을 선택한 것과 이를 수용한 삼성 모두가 상생을 선택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민정웅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교수는 “삼성과 애플이 삼성반도체-삼성LCD로 이어지는 부품 공급망을 공동 활
용하게 된 것은 전통적인 경쟁개념을 탈피한 것”이라며“글로벌시장에서 공급망 대 공급망 대결 구도가 만들어낸 새로운 협업모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태블릿피시와 스마트폰은 최근 폭발적인 시장 확대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부품수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삼성뿐만이 아니라 LG디스플레이(LGD) 등 주요업체들도 그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적기납품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전했다.
삼성전자와 애플의 복잡한 관계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가 최근들어 부품공급원이자 소비자가전 경쟁사 인 삼성전자를 상대로 거친 말을 쏟아내지만 삼성전자는 침묵으로 일관하는 등 양사가 복잡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역발상'으로 물류혁신 이끈다 (0) | 2011.04.30 |
---|---|
"공급망 대 공급망" 글로벌 경쟁시대 (0) | 2011.04.30 |
물류시설분야 "영업 보다는 기술력이 더 중요해" (0) | 2011.04.30 |
초점 잃은 대한통운 인수전 (0) | 2011.04.26 |
<와글와글 SNS> 대한통운에 밀애 구하다 들통 난 3사의 굴욕 (0) | 2011.04.1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