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외교적 마찰까지 부른… “콜드체인이 뭐길래”

INNOVATION

by 김편 2013. 7. 14. 11:29

본문

미리보는 인디아 콜드체인 SHOW 2013

외교적 마찰까지 부른… “콜드체인이 뭐길래” 

글. 이소아 인턴기자|김철민 기자


오는 9월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 인도 뭄바이 전시회장(Bombay Exhibition Centre: BEC)에서 열리는 ‘인디아 콜드체인 쇼’는 냉동보관, 냉장, 콜드, 물류, 온도 제어 및 신선 유통분야에서 가장 큰 행사이다. 이 행사는 의약품, 폴트리(오리고기, 닭고기 등 가금류 고기), 해산물, 채소 및 과일, 냉동가공 식품, 기타 유제품을 취급하는 공급망 내 플레이어들이 방문할 예정이다. 본지에서는 최근 들어 주목 받고 있는 콜드체인의 산업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 분야에서 가장 큰 행사인 인디아 콜드체인 쇼를 소개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보고자 한다. <editor>


지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 일이다. 미국 선수단이 중국산 식품의 안전성 문제를 이유로 자국 선수단에 공급할 식품을 직접 공수하겠다고 하자 중국과 마찰을 빚은 적이 있다. 중국이 강력하게 반발하자 미국은 공수계획을 철회하고 양국간 분란은 마무리됐다.


그러나 중국은 일본과 식품 안전성 분쟁 등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중국 물류업계를 중심으로 전면적인 물류체계 정비, 특히 ‘콜드체인’의 기준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기도 했다. 이렇듯 콜드체인은 국가간 외교적 마찰까지 부르고 있다. 왜일까? 바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콜드체인 시스템은 전 유통과정에서 농산물의 신선도 유지에 알맞은 저온상태로 일관되게 관리해 생산 당시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유통 방법이다.


최근에는 신선한 먹거리 등 국가간 제품 교류가 늘면서 선진 콜드체인 기법 도입에 대한 국가와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온도에 민감한 제품군의 성장 덕분에 해마다 열리는 인디아 콜드체인 쇼가 전 세계 콜드체인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중요한, 그리고 인기 있는 마케팅 캠페인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몇 년 동안 이 행사는 출품자와 방문자 수의 증가뿐만 아니라 콜드체인 시장에서의 기회 측면에서 그 규모를 키워나가고 있다. 


인디아 콜드체인 쇼 관계자는 “ICCS(India Cold Chain Show)는 솔루션 제공자와 콜드체인 시스템을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를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며 “이 행사는 콜드체인 사업과 관련 있는 크고 작은 주체들에게 종합적이고 의미한 플랫폼이 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왜 인도인가.

그렇다면 전 세계 많은 국가들 중에서 콜드체인 쇼가 인도에서 열리는 것일까?

인도는 농업기반 경제를 영위하며 연간 6350만톤의 과일과 1억3000톤에 이르는 채소를 재배한다. 또한 가장 큰 우유 생산국(연간 약 105톤)이기도 하다. 고기류와 해산물류도 600만톤 넘게 생산하고 있다. 


또 인도는 의약분야에서도 생산량 기준으로는 세계 3위 국가다. 금액가치 기준으로는 전 세계 14위로서 콜드체인을 요하는 주요 상품 군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인도는 향후 글로벌 푸드 서플라이어로 거듭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한 곳이다. 


따라서 인도는 효율적인 콜드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의약품, 농수산품, 축산물의 가치를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기존의 콜드체인 시설에 투자 및 현대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이다. 


1) 유제품&아이스크림
<표1> 콜드체인의 탑 유저(Top Users)

2) 냉동식품

3) 과일, 채소

4) 작물, 종묘(Seeds)

5) 의약품

6) 오리, 닭 등 가금류, 해산물

7) 기타


재창조, 농장에서 식탁까지(Farm to Fork)

인도는 시장 지향 확장을 통해서 2차 그린 혁명을 준비하고 있다. 식품 안전은 오늘날 글로벌 이슈이다. 인도 내 지구 표면의 1%도 안되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채소와 과일이 지구 전체 생산량의 13%를 차지하고 있다. 


◈재배 후 손실을 줄이는 콜드체인의 역할

글로벌 식품 보안 문제를 고려해보면, 공급망  전반에 걸친 재배 후 손실의 감축은 중요한 사안이다. 유통 프로세스가 불투명하여 ▲도매상의 파워가 크다는 점 ▲인프라의 부실 ▲ 표준화 및 시스템 불안정성 ▲전문 인력의 부재와 같은 문제를 이해하고 콜드체인 산업의 프로모션을 위해 올바른 대안이 필요하다. 

재배 후 기술은 분류, 포장을 비롯해 부패성 식품이 온도제어 컨테이너를 통한 운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가공 공장과 같은 중간 저장소로 보내지는 작업에서 자동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당연히 물류와 추적활동은 공급사슬 내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콜드체인 산업의 미래

재배 후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패성 식물 가치가 최대 40%까지 떨어질 수 있다. 먼 거리를 이동하면서 상이한 환경과 기후에 마주치게 되고 이는 농수산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효과적이고 균형 잡힌 공급망을 위한 콜드체인이 떠오르는 지점이기도 하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인해 신선식품과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콜드체인의 역할이 극대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콜드체인 운영 모델 in 인도

현재 인도에서는 두 가지 콜드체인 운영 모델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3PL 서비스 제공자 모델로 이는 냉동보관 및 기타 재배 후 관리 서비스가 전문 콜드체인 물류업체에 의해 유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통합 콜드체인 모델(Integrated Cold Chain Model)인데 농장-소매(Farm-to-retail) 모델이라고도 불린다. 즉, 생산 지점부터 유통, 가공을 거쳐 소비 지점까지 흐르면서 가치가 더해지는 프로세스라고 볼 수 있다. 


(그림1) Bharat Refrigeration Pvt. Ltd. ◈India Cold Chain SHOW 2013' 미리보기 

냉동 트럭, 냉동 창고, 송풍 냉동기, 낙농시설 장비 등을 30년 이상 생산 해 온 Bharat Refrigerator사는 내수 시장,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 효율성과 신뢰성을 크게 확보하고 있다. 꾸준한 R&D의 결과로 최초로 탈착식 냉동 트럭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아이스크림, 유제품, 가공식품 유통업자를 겨냥하였고 비용 효율성이 높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그림2) FLIR System India Pvt. Ltd

열 이미지, 열 영상 처리의 설계, 제조, 마케팅을 선도하는 FLIR사는 상업 적외선 카메라 분야에서 50년 이상 적외선 열 검사(Thermography), 야시 장비(Night Vision) 등을 공급해 왔다. 원래는 군사, 정부, 과학기술 시장에서 사업을 수행했지만 최근에는 콜드체인 시장에 눈을 돌려 냉장 차량, 창고에 쓰이는 온도 제어 및 센서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그림3) Best Marine Pvt. Ltd.

Best Marine사는 특수한 환경에서 일하는 콜드체인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고품질의 작업복을 제작한다. 그들의 제품 범위는 반사 테이프가 부착된 폴리에스테르/면 소재의 상하가 붙은 작업복, 내화 처리재 의복, 냉동 창고용 바지, 0℃~10℃에 적합한 파카 자켓, 고무 부츠, 안전화 및 기타 저온에서 필요로 하는 부속품까지 다양하다. 


(그림4) A.S Control Pvt. Ltd.

화학공장에서 사용되는 밸브와 레벨 제어 제품을 생산하는 소규모 기업에서 출발한 A.S Control Pvt. Ltd사는 냉장·냉동, 냉난방 장치 산업의 선구자가 되기 위한 기술 혁신을 뽐내고 있다. Castle과 Subzero 라는 브랜드 2개를 가지고 있으며 고객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 온도 표시기, 온도 스캐너, 동결 방지 컨트롤러, 냉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R.Sivakumar Regional Manager <미니 인터뷰>

Cold Chain Division


Q. 콜드체인 산업의 비전과 기업의 전략은 무엇인가? 

A. 콜드체인 산업은 비즈니스 모델, 기능, 기술, 시설 측면에서 기존의 단순 냉동 보관 산업과는 크게 다르다. 콜드체인은 일반 공급망과 마찬가지로 생산지에서부터 최종 소비자를 연결 시켜주는 하나의 네트워크이다. 

하지만 온도에 민감한 제품들을 안전하게, 좀 더 효율적으로 최종 고객에게 전달해야 한다.  현재 콜드체인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 산업의 경제적 가치를 이해하고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잠재적 투자자들, 특히 기업체를 위한 폭 넓은 기반 접근법(based approach)과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금융 기관은 콜드체인 산업을 잠재적 인프라 세그먼트로서 초점을 맞추고 전도유망한 농업 비즈니스 투자자들을 유치 및 지원해야 한다. 인도의 경우, 농림부 산하의 국가중앙콜드체인개발(NCCD)은 농업 비즈니스 투자자들에게 필요한 체계와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여기에는 공급망의 모든 이해관계자들, 생산자, 도매인, 소매상, 물류업자, 기술 제공자, 그리고 소비자의 시각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Q. 콜드체인을 운영하는데 가장 큰 제약은 무엇인가?

우리 회사는 콜드체인 프로젝트에서 턴키(Turn-Key: 일괄수주)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냉동 보관과 유통이 통합된 콜드체인 프로젝트를 설계, 실행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설계할 때에는 투자자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과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파트너의 사업성과 예산 한도를 동시에 충족시켜야 한다는 점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된다.  


Q 콜드체인 산업 자체의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콜드체인은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까지 제품이 효율적으로 온도관리가 되는 상태로 흐르는 것이다. 제품 관리, 보관비용이 일반 공급망보다 높다는 점, 그리고 이를 위한 적절한 시스템이나 베스트 프렉티스가 정착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점도 큰 리스크 요인이다. 

부패성 제품의 운송, 보관, 유통 프로세스를 매끄럽게 하면서 비용 효과성을 높이는 방법이 일괄 파레트화(Palletisation)이다. 우리 회사도 매트릭 톤 마인드에서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파레트 마인드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리뷰 - 식품안전 결론은 ‘콜드체인’


식품의 안전성을 위해 콜드체인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국내 연구결과에서도 입증된 바 있다.


브로콜리를 10도에 4일 보관했을 때 검출된 대장균의 수가 4에서 보관했을 때보다 약 4.6배 높게 나왔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의 온도를 낮춰주면 농산물의 생리적 대사활동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활성도도 낮아져 농산물의 부패 발생률이 감소하게 된다. 또 0도에 저장한 과일은 10도에 저장한 과일에 비해 부패발생률이 4분의 1 정도에 그쳤다.


국내에서도 2006년 위탁급식을 한 학교의 단체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는 등 일련의 사건 이후 안전한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경험을 통해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콜드체인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유통관계자를 중심으로 많이 확산됐지만 실제 유통과정을 보면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콜드체인, 즉 연결고리란 용어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콜드체인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를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


그리고 냉동가공품, 축산물 등 품목별로 적용 방법을 조금씩 달리해야 하는데 신선농산물의 경우 수확 후 급속히 품질의 온도를 떨어뜨려(이하 ‘예냉’) 바로 혹은 저온저장고에 일시 보관한 후 냉장차로 운송하게 된다. 


이렇게 소비지에 도착한 농산물은 낮은 온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저온진열대 등의 판매 공간에 옮겨져 소비자에게까지 전달돼 수확 후의 품질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상황을 살펴보면 산지에서 예냉되는 비율이 약 2%(전체 기준), 저온 농산물을 냉장차로 운송하는 비율도 27.8%(규모화된 산지유통조직 74개 기준)로 대부분이 상온에서 유통되고 있다. 


일부 단계에서 저온 유통된다 해도 산지에서만 저온 저장된 후 소비지에서는 상온으로 방치되거나 산지에서는 예냉 등의 온도관리를 하지 않다가 대형 유통업체 판매장에서 진열될 때만 낮은 온도가 유지되는 등 단속적으로 이루어질 뿐이어서 그 효과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중국과 미국, 중국과 일본 등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식품의 안전성 문제가 중요한 외교상의 이슈가 될 만큼 부각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학교급식 위생관련 사고 등으로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 필요한 건 식품 안전을 위한 콜드체인에 대한 관심과 투자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