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리투아니아는 서구 유럽 및 동구 유럽과 모두 인접해 있다는 지리적 장점 및 ice free port 등
의 강점으로 항만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속도도 매우 빠른 편임
- 리투아니아는 벨라루스 등 내륙국가를 배후로 두고 있으며, 독일 및 네덜란드의 물량도 비교적
많이 처리하고 있어 자체 물량은 부족하더라도 물동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 다만, 소비재 물량이 많기 때문에 경기 변동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는 편임
ㅇ 리투아니아는 자체 재정보다는 EU의 지원과 민간과의 합작을 통해 사업비를 조달할 의향이
있으며, EU의 투자 규모는 조사결과 이후에 확정될 예정임
- 현재 진행 중인 타당성 조사 및 환경영향 평가 또한 EU의 TEN-T 기금에서 50%를 지원받아
진행하고 있으며, 리투아니아의 지정학적 위치 등으로 인하여 EU의 투자지원은 긍정적일 것
으로 판단됨
ㅇ 다만, 수출입의 불균형 현상 등은 리스크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됨
- 리투아니아 내의 제조 공장 등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입이 주가 되고 수출 물량은 부진한 실정임
- 적/공 컨테이너와 수출입 컨테이너를 각각 구분하지 않고, 수입은 적컨테이너, 수출은 공컨테
이너로 분류해도 무방할 정도로 대부분 소비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따라서 현지 항만터미널 운영이 아닌 운송업 등에 진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러한 imbalance
문제를 보완할 방안을 마련해 두어야 할 것임
ㅇ 물동량 증가에 따른 직접적인 유인 이외에도 러시아 및 유럽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목
적으로도 리투아니아 진출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KMI 국제물류위클리 제139호 (2012.02.15)
<목 차>
▣ 리투아니아 부팅게(Butinge)신항 다목적부두 개발사업
▣ Grindrod사, 모잠비크 마푸토(Maputo)항 마톨라(Matola) 석탄터미널 운영권 획득
(포토) 맨유, DHL 달고 뛴다 (0) | 2012.02.16 |
---|---|
인천항만공사 인턴·경력사원 채용 (0) | 2012.02.16 |
국토부,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 대상 모집 (0) | 2012.02.15 |
CJ, 대한통운 인수 후 첫 투자 나선다 (0) | 2012.02.15 |
POSCO Ask The Way To Global Logistics Innovation (0) | 2012.02.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