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철민 기자
자타공인 국내 1위 물류기업 대한통운 인수전을 계기로 국가 물류산업의 수준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될 것인지, 아니면 후퇴할 것인지 등 산업별 반응이 제각각이다. 대기업들이 대한통운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물류업과 시너지 창출, 글로벌화라는 한결 같은 주장인데 반해 업계 일부에서는 이들 기업이 물류를 빌미로 비자금 조성과 후계구도에 이용할 것이란 지적도 있다. 이 경우, 대기업 중심의 성장에 따른 산업불균형이 예상되고, 하청구조인 중소물류기업들의 입지가 더욱 위축될 수 밖에 없다는 데 업계의 공통된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고용승계 100% 보장해야=그렇다면 대한통운 인수전의 변수 중 하나인 ‘고용승계’는 어떨까? 우선 3년 전 금호아시아나그룹이 대한통운 인수에 성공했을 때를 짚어보자. 당시 박삼구 회장은“IMF 때도 나는 직원들을 구조조정한 적이 없다. 절대로 인위적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며 대한통운의 인력을 100% 승계하겠다는 말한 바 있다. 이 같은 금호의 결정은 2008년 STX와 대한통운 인수전 입찰평가에서 동점을 받은 상황에서 결국 승리를 하게 된 결정적 평가요소가 됐다. 박 회장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에도 공식적인 자리에서 대한통운은 우수한 인재들 때문에 인수한 것이 며 인위적인 인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는 말을 거듭 강조했다.
대한통운 인수전을 바라보는 물류업계는 대기업 진출로 인한 중소물류시장의 위축과 시장 독식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물류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1위 물류업체인대한통운 매각이 기업의 실익추구 이전에 국가물류산업발전과 업계 동반성장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공통된 주장을 펼치는 양상이다. 정부도 공적자금이 투입된 기업 매각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우선 공정거래위원회의 강화된 M&A심사기준이 어떤 영향을 미치질 주목된다. 올해 공정위는 대통령 업무 보고에서 가격인상과 경쟁제한이 우려되는 M&A심사를 강화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중 택배시장 독과점과 대형화주의 해운업 진출에 대해 유념하고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대한통운 인수전)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택배 등 국내 물류시장을 특정업체가 독차지할 우려가 없는지 살펴볼 것”이라며 “대형화주의 해운업 진출로 인한 중소 해운사의 시장위축도 점검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전체 택배시장 규모 중 빅4사(대한통운, CJ GLS, 한진, 현대로지엠)를 합치면 절반을 좀 넘는 수준”이라며 시장독과점에 대한 우려를 일축했다. 현재 택배 빅4사 전체의 시장 점유율은 58%에 불과한 상태다. 포스코, 롯데, CJ 등 대기업들의 군침도 중소운송업체들에게 부담스런 눈치다. 중소운송업체 A사 한 관계자는 “삼성, 현대 등 대기업들 중에 물류자회사 없는 곳이 없다. 물류자회사가 늘면서 다단계 운송시장(재하청)이 과당경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매년 중소운송업체들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이유다”고 말했다. 또 중소해운업체 B사 관계자도“대형화주의 물류업 진출은 결국 대-중소기업 간 부익부빈익빈 현상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도 모 기업이 대한통운 인수를 통해 해운업에 진출할 것이란 업계 전망에 대해 해운법 24조에 의거 대형화주의 진입이 제한된 만큼 쉽지 않은 일이라고 지적한바 있다. 물류업계 관계자는“대한통운 인수로 자칫 대형제조 및 유통업체들의 배만 불려서는 안 된다”며“인수후보기업들이 정말로 물류산업 발전에 기여를 할지, 물류시장 독식의 우려는 없는지 정부가 꼼꼼히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수전 참여한 업체들 모두 물류사업을 통한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 극대화란 명분을 내세웠다. 롯데는 후보기업 중 가장 강한 인수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백화점, 마트, 홈쇼핑, 인터넷몰 등 유통계열사 간 물류통합과 일원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을 노리고 있다. 현재 물류업계는 인수전 참여기업 3곳 중 롯데(자회사인 롯데로지스틱스)가 대한통운의 육상운송과 택배에서 가장 큰 기대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했다. 이외에도 호남석유화학과 케이피케미칼 등 유화사업부문이 대한통운의 항만하역 및 해운업을 활용하는 것과 대한통운이 보유한 부지를 유통매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롯데에겐 매력적인 부문이다. 포스코는 해외에 건설을 추진 중인 일관제철소와 중국, 베트남 등에 산재한 가공센터에서 이뤄지는 물량이 막대해 물류비 절감 요인이 크다. 지난해 인수한 대우인터내셔널의 국외 물량(자원개발, 수입 등)과 포항·광양제철소 등 국내 물량도 통합·일원화해야 하는 내부계획도 추진 중이다. 포스코 관계자는“운송물류비 절감에 따른 본연의 철강업 경쟁력을 강화가 목표”라며“대우인터내셔널 등 그룹사와 연계한 해외동반 진출 등을 고려 중”이라고 인수전 참여배경을 설명했다.
최근 인수합병(M&A)시장과 물류업계에 따르면 철강물류 특성상 해외원자재 등 수입운송 비중이 크기 때문에 포스코가 육상운송이 주력인 대한통운 보다 벌크수송 등 해운선사 인수가 더 유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업계의 분석은 포스코가 대한통운 인수전 참여 공식화 이후, 대한해운이 법정관리를 신청했기 때문이다. 물론 법정관리 신청을 했다고 해서 대한해운이 M&A시장매물로 꼭 나온다는 법은 없다. 다만 포스코 입장에서 너무 성급하게 대한통운 인수전 공식화를 선언한 게 오히려 손해였을 수 있었다는 판단에서다. 대한해운 매출(2009년기준)은 2조2793억원으로 대한통운 2조997억원(2010년기준)과 엇비슷하다. 포스코는 대한해운 매출 중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이 회사의 벌크선박 10대를 사용 중이다.
공식적으로는 ‘전혀 관심 없다’고 밝힌 삼성에 대해 인수합병시장은 삼성이 어딘가 숨어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업계는 재무적 투자자(FI)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삼성이 이를 통해서 대한통운을 통째로 인수하지 못하더라도 투자를 통한 지분확대를 꾀할 것이란 주장에 무게감을 두고 있다. 또 다른 일각에서는 삼성이 CJ와 롯데 중 대한통운 인수에 성공한 업체가 사업별 분리재매각을 시도할 경우, 그 기회를 노리고 있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방법만 다를 뿐 인수합병업계는 삼성이 어떻게든 들어가 있을 것이란 내용에는 이견을 보이지 않는 눈치다. 그렇다면 이 같은 시나리오는 과연 어떻게 나왔을까?
물류인들의 소통 점수는? (0) | 2011.06.20 |
---|---|
'인맥관리'란 곧 자기관리 (0) | 2011.06.20 |
'通' 직장백서 - 소통의 달인 (0) | 2011.05.04 |
스마트로(SmartLo) 가는 글로벌 항만물류 강자 (0) | 2011.05.04 |
운송·물류 ‘스마트워크’ 시대 (0) | 2011.05.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