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민의 Beyond Logistic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철민의 Beyond Logistics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SCL Review (3558)
    • ARTICLES (2385)
    • INSIGHT (770)
    • INNOVATION (400)

검색 레이어

김철민의 Beyond Logistic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INSIGHT

  • 글로벌 유통업체들의 무덤, 코스트코는 왜 한국형 온라인몰을 오픈할까

    2015.11.09 by 김편

  • CLO 통권 63호(2015.9)를 읽고

    2015.11.09 by 김편

  • 빅데이터와 IoT의 경계 선상에서

    2015.11.02 by 김편

  • 노키아, 콩코드는 왜 SCM 때문에 망했을까

    2015.10.24 by 김편

  • 효율적인 물류업무 위탁 방법론 ②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라.

    2015.10.24 by 김편

  • 경계의 모호함, 그 모호함의 경계에 대해서

    2015.10.24 by 김편

  • 플랫폼, 사람이 먼저다

    2015.10.19 by 김편

  • 플랫폼 공룡 카카오의 딜레마

    2015.10.19 by 김편

  • CLO 10월호 발행 안내

    2015.10.12 by 김편

  • "파괴의 시대, 상생의 장을 열다"

    2015.10.12 by 김편

  • Executive summaries - 9월호

    2015.10.08 by 김편

  • 물류는 롱테일 "최적화 시장을 찾아라"

    2015.10.01 by 김편

  • 여행자가 건낸 택배상자 - P2P배송플랫폼 피기비

    2015.10.01 by 김편

  • 내 집안의 피팅룸 - 라운지에프의 데이터 옴니체널

    2015.10.01 by 김편

  • 물류 스타트업으로 산다는 건

    2015.09.19 by 김편

  • 글로벌 3PL 기업 TOP 50가 보내온 시그널

    2015.09.13 by 김편

글로벌 유통업체들의 무덤, 코스트코는 왜 한국형 온라인몰을 오픈할까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4호(10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글로벌 유통업체들의 무덤코스트코는 왜 한국형 온라인몰을 오픈할까글. 황정현 기자 Idea in Brief‘창고형 회원제 할인매장’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할인점으로 국내 유통업계에서 무시하지 못할 입지를 보유한 코스트코가 온라인몰 오픈을 선언했다. 코스트코의 국내 온라인몰 진출은 두 번째 유통전쟁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스트코가 국내 유통업체와의 전쟁에서 살아남았던 이유와 왜 그들의 전쟁터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번지게 되었는지, 그리고 코스트코의 온라인몰 오픈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봤다.- 소비자들의 장보기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갈수록 바빠지는 현대 생활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더 이상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

INSIGHT 2015. 11. 9. 17:09

CLO 통권 63호(2015.9)를 읽고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4호(10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From the ReaderCLO 통권63호(2015.9)를 읽고 물류는 인간의 영역이다.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김승환 현장직과 사무직의 차이는 항상 발생해왔다. 회사에서 박사학위를 가지는 직원을 관리직으로 보내도, 현장의 상황을 현장직 직원만큼 파악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간혹 돌발 상황이 발생할 때도 현장직이 사무직보다 능숙한 순간적 대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책상머리에서 일을 배운 사람들과 실제로 돌아가는 일을 몸으로 부딪치는 사람들의 어쩔 수 없는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사무직이 무능하다는 말이 아니다. 다만 사무직 직원들은 책에서 얻을 수 없는 지식. 즉 경험을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메쉬코리아는 실제 ..

INSIGHT 2015. 11. 9. 17:05

빅데이터와 IoT의 경계 선상에서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4호(10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빅데이터와 IoT의 경계 선상에서 글. 유병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Idea in Brief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빅데이터(Big Data)라는 주제가 매우 큰 화제를 몰고 왔다. 그러나 그 인기가 어느 순간 거품처럼 사그라지면서 새롭게 부상한 주제가 있다. 바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다. IoT관련 사업은 하드웨어 중심으로 결합되는 비즈니스로 하드웨어 중심의 성장을 이룩한 한국기업의 경쟁력이 높다. 그러나 사실 IoT는 빅데이터와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IoT는 빅데.이터 전략의 원료인 정보를 수집하는 도구가 되며 결국 이것을 ..

INSIGHT 2015. 11. 2. 13:15

노키아, 콩코드는 왜 SCM 때문에 망했을까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노키아, 콩코드는 왜 SCM 때문에 망했을까글. 민정웅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교수 | 정리. 이석영 기자 who?민정웅 필자는 현재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및 물류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으로 정석물류통상연구원 부원장을 겸직하고 있다. 역-저서로는 ‘미친 SCM이 성공한다(2014, 영진닷컴)’, ‘물류학원론’, ‘공급사슬물류관리’, ‘물류기술과 보안의 이해’등이 있다. IT 및 Operation 컨설턴트로 활동했던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공급사슬관리, 물류정보시스템, 물류보안, SCM과 소셜네트워크 등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Idea in Brief‘패러다임 전환’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노키아’를 ..

INSIGHT 2015. 10. 24. 16:10

효율적인 물류업무 위탁 방법론 ②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라.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효율적인 물류업무 위탁 방법론 ②자사의 업무흐름, 물류프로세스를 이해하라 글. 권정욱 콜맨코리아 SCM팀장 who?권정욱식품, 타이어, 자동차, 반도체, 주류회사 등에서 다양한 물류를 경험한 현장 전문가. 현재는 콜맨코리아에서 SCM팀장직을 맡으며‘다품종소량’물류 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다. ‘물류가 세상을 바꾼다’ 는 신념을 갖고 언젠가는 CLO가 CEO가 되는 시대가 오길 바라며 ‘보다 나은 SCM(Better SCM forward)’ 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Idea in Brief정확한 업무 요청을 위해서는 요청자가 업무 및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무리 요청자가 명확하게 업무 프로세스를..

INSIGHT 2015. 10. 24. 15:59

경계의 모호함, 그 모호함의 경계에 대해서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경계의 모호함, 그 모호함의 경계에 대해서 글. 이병휘 캘로그 Demand Planner Who?이병휘 이병휘 과장은 P&G KoreaProduct Supply와 삼성전자 생활가전 사업부 Retail SCM팀을 거쳐 현재 켈로그 영업부 디멘드 플래너(demandplanner)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SCM프로세스와 Information visibility 등이다. Idea in brief온라인, 오프라인 채널 간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제조사들의 비용효율화와 높아진 유통업체의 위상으로 유통채널간의 제품 차별화는 이제 거의 불가능하며, 유통업체 사이의 경쟁적인 최저가격 보장제의 도입으로 인해 가격적인 차별화 또한 어려..

INSIGHT 2015. 10. 24. 15:55

플랫폼, 사람이 먼저다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플랫폼, 사람이 먼저다” 우아한 청년들 배달앱 뚫고, 배달현장 간 사연 우아한청년들 김수권 대표 | 허광진 본부장(전 두바퀴콜 대표) 글. 엄지용 기자 | 사진. 노현우 객원기자 기존 플랫폼을 통한 배달중개 분야에 한정됐던 배달앱 시장의 경쟁 양상이 플랫폼을 넘어서고 있다. 배달앱 요기요를 운영하는 알피지코리아는 맛집배달 대행 서비스 ‘푸드플라이’및 ‘부탁해’와 제휴를 통해 기존 배달이 되지 않던 맛집 배달 서비스까지 외형을 확대 중이다. 배달앱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도 정기배달업체 ‘덤앤더머스’와 배달대행업체 ‘두바퀴콜’인수를 통해 전국구 물류망 구축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 덤앤더머스는 서울, 경기지역에 자체 배..

INSIGHT 2015. 10. 19. 09:55

플랫폼 공룡 카카오의 딜레마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온디맨드, 제도의 사선에서” 플랫폼 공룡의 딜레마 글. 엄지용기자 Idea in Brief 다음카카오가 적극적인 인수합병 추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지난 3월 20일 케이큐브벤처스 인수 이후 셀잇, 록앤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카닥을 연이어 인수합병하면서 ‘온디맨드’ 합동 전선을 구축하고 있는 모습이다. 재밌는 것은 이렇게 다음카카오가 접근하고 있는 업체 중에는 ‘배송’영을 포괄하고 있는 스타트업 또한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카카오가 대리운전, 배달 등 새로운 사업 진출에대한 업계의 예측에 신중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다음카카오의 온디맨드 합병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법은 기본적으로 제도권 안에서 시장을 보호하..

INSIGHT 2015. 10. 19. 09:52

CLO 10월호 발행 안내

1. 기술 (Technology)상용 무인 트럭 개발 어디까지 왔나 글. 이석영 (p.12)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 육상운송 시장에서는 도로 화물 운송의 고질적인 문제들이 자주 거론되어 왔다. 최근에는 옴니채널의 발달로 인한 소비량 증가로 도로 물동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 문제점들이 더 주목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람들이 화물차 운전업을 기피하며 인력 부족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장거리 운전에 따르는 높은 피로도와 그에 미치지 못하는 저임금, 그리고 열악한 복지환경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 들어 많은 기업에서 ‘상용 무인 트럭’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2. 유통 (Distribution) 코스트코는 한국형 온라인몰을 오픈할까 글..

INSIGHT 2015. 10. 12. 10:25

"파괴의 시대, 상생의 장을 열다"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2015 물류스타트업 활성화 정책 토론회사회. 김용진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정리. CLO편집국 지난달 21일 본지와 국토교통부는 한강홍수통제소에서 ‘물류스타트업 활성화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과, 물류시설정보과, 물류산업과의 정책담당자는 물론 쿠팡, 우아한청년들 등 스타트업, CJ대한통운 등 물류 대기업, 한국교통연구원 등 연구계, 소프트뱅크코리아 등 VC가 한 자리에 모여 ‘물류스타트업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및 ‘물류스타트업을 통한 우수 일자리 창출 방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물류스타트업’이라는 용어가 표면에 등장했다. 라스트마일 딜리버리(Last-mile delivery) 영역을..

INSIGHT 2015. 10. 12. 10:20

Executive summaries - 9월호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Executive Summaries 스타트업 (Start-up)그저 내버려두기도글. 김도현 (p.10)우리나라의 경제는 대기업을 성장 동력 삼아 성장했고, 근면성실과 일사불란을 중요한 노동가치로 삼아왔다. 그러나 대기업은 고전하고 있고, 사회는 불안정해지고 있다. 이제 우리가 처한 문제의 본질을 다시 묻고, 그 문제를 풀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볼 필요가 있는 것이 아닐까. 기업들은 직원들의 최저연봉을 7만 달러로 인상하고 그에 맞춰 CEO의 연봉까지 90% 삭감한 ‘그래비티 페이먼트’의 사례처럼 극변하는 환경에 맞춰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어려우면 적어도 스타트업을 ‘나부랭이’로 치부하지 않는 것, ..

INSIGHT 2015. 10. 8. 15:48

물류는 롱테일 "최적화 시장을 찾아라"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물류는 롱테일“최적화 시장을 찾아라”글. 엄지용 Idea in Brief메쉬코리아는 시스템을 통한 물류 최적화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회사가 개발한 시스템은 현재 배달되지 않는 맛집 배달 B2C플랫폼 ‘부탁해’, 소비자 및 기업 대상 이륜차 배달 중계 플랫폼 ‘메쉬프라임’, 배송기사 전용 소프트웨어 ‘부릉’이 있다. 물류를 비용 효율 측면에서 바라본다는 측면에서 메쉬코리아는 ‘물류의 기본’, 즉 3PL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메쉬코리아가 장전한 무기는‘기술’이다. 메쉬코리아는 물류산업이 롱테일 시장이며 아직까지 최적화가 되지 않은 쪼개진 시장이 수도 없이 많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점이 바로 메쉬코리아가 고객 라인까지 이..

INSIGHT 2015. 10. 1. 13:36

여행자가 건낸 택배상자 - P2P배송플랫폼 피기비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여행자가 건넨 택배상자P2P(Peer to peer) 배송플랫폼 피기비글. 이현주, 김철민 기자 Idea in Brief공유경제 전문가들은 2015년이 공유경제 플랫폼이 물류산업을 파괴할 한 해가 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행자들이 충분히 확보되었으며 그들을 수용할 공유경제 숙박시설이 일반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피기비는 이런 추세 속에서 탄생한 대중을 상대로 한 협력적 운송 네트워크다. 전 세계 각지에 있는‘사람’이라는 인프라를 통해 여행자들이 장소를 불문하고 배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피기비 안에서는 3000명 이상의 사용자가 배송인, 배송의뢰인을 자처하고 있으며 SNS상에서는 수만..

INSIGHT 2015. 10. 1. 13:33

내 집안의 피팅룸 - 라운지에프의 데이터 옴니체널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내 집안의 피팅룸라운지에프의 데이터 옴니채널글. 엄지용 기자 Idea in Brief라운지에프는 인디 브랜드 온라인 편집샵이다. 대중적인 브랜드와 달리 특색 있는 인디 브랜드에 대한 시장 규모는 크지 않다. 라운지에프는 이런 ‘니치마켓(niche market, 틈새시장)’ 브랜드를 모아 글로벌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창업 3년만인 이 회사가 배포 좋게도 처음부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옴니채널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이다. 남들 다 떠드는 거창한 빅데이터가 아닌 페이스북 좋아요 등의 소소한 데이터 과학을 통해 옴니채널을 구축하려는 스타트업 라운지에프를 소개한다. ‘옴니채널(Omni channel)..

INSIGHT 2015. 10. 1. 13:31

물류 스타트업으로 산다는 건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3호(9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물류 스타트업으로 산다는 건글. 김철민 편집장 중국판 우버로 알려진 차량공유서비스업체인 디디콰이디(滴滴快的)는 얼마 전 중국 정부로부터 2가지 선물을 한꺼번에 받았습니다. 중국 국부펀드인 중국투자공사(CIC) 계열 투자회사로부터 수억 달러의 자금을 유치한데 이어 불법 논란이 끊이지 않은 서비스를 합법화할 수 있는 길을 열게 된 것이죠. 이에 따라 상하이시는 차량공유서비스를 중국에선 처음으로 합법화하기로 했으며 그 첫 대상 기업으로 디디콰이디를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우버형 차량공유서비스가 불법으로 낙인 찍혀 다음카카오 택시나 우버 택시처럼 기존 택시 기사들과 고객을 연결해주는 앱 서비스만 허용되는 한국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INSIGHT 2015. 9. 19. 15:57

글로벌 3PL 기업 TOP 50가 보내온 시그널

* 해당 기사는 CLO 통권 62호(7-8월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했습니다 글로벌 3PL 기업 TOP 50가 보내온 시그널 글. 황정현 기자 idea in brief최근 미국 3PL 컨설팅 회사인 암스트롱 앤 어소시에이트(Armstrong & Associates)는 2014년도 총 물류 매출액을 기준으로 글로벌 물류기업 상위 50위을 발표했다. 또 가트너(Gartner) 연구소에서도 지난 4월 상위 물류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직 쿼드런트 보고서(Magicquadrant report)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본지는 동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글로벌 3PL 사업의 현황 및 이슈, 트렌드 등을 살펴봤다. 최근 미 비즈니스매거진 Supply Chain Management Review(SCMR)의 ..

INSIGHT 2015. 9. 13. 11:1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9
다음
TISTORY
김철민의 Beyond Logistics © BeyondX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